10000엔 지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0000엔 지폐는 일본에서 통용되는 최고액권 지폐로, 약 20년 주기로 디자인을 변경하며 위조 방지 기술을 강화해 왔다. 1958년 C호권을 시작으로 D호, E호, 2024년 7월 3일 발행 예정인 F호권까지 발행되었으며, 각 지폐는 역사적 인물, 건축물 등을 도안으로 사용한다. 10000엔 지폐는 일본 전체 유통 지폐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현금 없는 사회로의 전환에도 불구하고 유통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000 단위 지폐 - 10000원 지폐
대한민국의 고액권 지폐인 10000원 지폐는 여러 차례 도안 변경을 거쳤으며, 위조 방지 기술 강화와 디자인 변화를 통해 세종대왕, 경복궁 경회루, 혼천시계 등의 도안이 사용되었다. - 시부사와 에이이치 - 이화학연구소
이화학연구소는 1917년 설립된 일본의 국립 연구개발 법인으로,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등 기초과학 분야를 연구하며, 리켄 콘체른 형성, 노벨상 수상자 배출, 첨단 연구 시설 운영으로 일본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나, 연구 윤리 문제와 과거 군사 연구 참여에 대한 비판도 있다. - 시부사와 에이이치 - 제일은행 (일본)
일본 최초의 국립 은행인 제일은행은 일본 근대화에 기여하며 민간 자본 유치, 재벌 협력, 조선 진출을 통해 경제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여러 합병을 거쳐 현재 미즈호 은행으로 통합되어 미즈호 금융 그룹의 핵심 계열사가 되었다. - 일본 엔 지폐 - 1000엔 지폐
1000엔 지폐는 일본에서 발행되는 지폐로, 쇼토쿠 태자, 이토 히로부미, 나쓰메 소세키, 노구치 히데요, 기타자토 시바사부로 등 시대에 따라 다양한 인물과 위조 방지 기술, 유니버설 디자인이 적용되어 발행되었다. - 일본 엔 지폐 - 5000엔 지폐
5000엔 지폐는 일본은행에서 발행하는 일본 엔 지폐 중 하나로, 쇼토쿠 태자, 니토베 이나조, 히구치 이치요 등의 인물과 후지 산, 붓꽃 등의 도안이 사용되었으며 위조 방지 기술 강화를 위해 디자인이 변경되어 왔고, 2024년에는 쓰다 우메코와 등나무를 도안으로 한 새로운 디자인의 F호권이 발행될 예정이다.
10000엔 지폐 | |
---|---|
화폐 정보 | |
국가 | 일본 |
액면가 | 10,000 |
단위 | 엔 |
가로 (mm) | 160 |
세로 (mm) | 76 |
보안 기능 | 홀로그램, 요판 인쇄, 잠상, 발광 잉크, 미세 인쇄, 펄 잉크, 촉각 표시, 워터마크, 워터마크-바 패턴, EURion constellation |
인쇄 연도 (서기) | 1958 - 1984 (C 시리즈) 1984 - 1993 (D 시리즈, 검은색 일련번호) 1993 - 2004 (D 시리즈, 갈색 일련번호) 2004 - 2011 (E 시리즈, 검은색 일련번호) 2011 - 2024 (E 시리즈, 갈색 일련번호) 2024 - 현재 (F 시리즈) |
앞면 | |
![]() | |
도안 | 시부사와 에이이치 |
뒷면 | |
![]() | |
도안 | 도쿄역 (마루노우치 방면) |
일본은행권 1만엔권 (F호권) | |
국가 | 일본 |
액면가 | 10,000 |
단위 | 엔 |
가로 (mm) | 76 |
세로 (mm) | 160 |
보안 기능 | 스카시(워터마크), 초정밀 묘선, 홀로그램 등 |
발행 연도 (서기) | 2024-현재 (F호권) |
앞면 (F호권) | |
![]() | |
도안 | 시부사와 에이이치 |
도안 날짜 | 2024 |
뒷면 (F호권) | |
![]() | |
도안 | 도쿄역 (마루노우치 역사) |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후 일본의 인플레이션을 배경으로 고액권 발행 필요성이 제기되어, 1958년 12월 1일 쇼토쿠 태자를 도안으로 한 첫 1만 엔 지폐(C호권)가 발행되었다.[9][15] 초기에는 인플레이션 조장 우려나 거스름돈 문제 등으로 비판도 있었으나, 고도 경제 성장기를 거치며 수요가 급증하여 일본 경제의 중요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9]
지폐의 원료로는 주로 미츠마타나 마닐라 삼 등이 사용된다. 과거 시마네현, 오카야마현 등 6개 현에서 대장성 인쇄국(현 국립 인쇄국)과 생산 계약을 맺고 국산 미츠마타를 조달했으나, 농촌의 과소화, 고령화 등으로 생산량이 줄어 2010년 무렵부터는 네팔이나 중국 등지에서 수입하여 부족분을 보충하고 있다.[11][12][13]
1만 엔 지폐는 위조 방지 기술 발달에 맞춰 대략 20년 정도의 간격으로 도안 변경과 함께 최신 위조 방지 기술을 도입하여 개정되고 있다. 주요 개정 이력은 다음과 같다.
- '''C호권''': 1958년 12월 1일 발행 시작. 도안은 쇼토쿠 태자와 봉황.[15] 1986년 1월 4일 지급 정지.[18]
- '''D호권''': 1984년 11월 1일 발행 시작. 도안은 후쿠자와 유키치와 꿩.[27] 1993년 마이크로 문자, 특수 발광 잉크 등 위조 방지 기능 강화 (미니 개정).[30] 2007년 4월 2일 지급 정지.[18]
- '''E호권''': 2004년 11월 1일 발행 시작. 후쿠자와 유키치 도안을 유지하며 뒷면은 뵤도인 봉황상으로 변경하고 홀로그램 등 위조 방지 기술 강화.[36]
- '''F호권''': 2024년 7월 3일 발행 시작. 도안은 시부사와 에이이치와 도쿄역 마루노우치 역사.[49][47]
2. 1. 발행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후 일본은 극심한 일본의 인플레이션을 겪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1953년 당시 대장성에서는 고액권인 만 엔 지폐 발행 구상이 처음 제기되었다.[9] 같은 해 엔화보다 낮은 단위였던 전이 폐지되었고[10], 과거에는 국가 예산 규모에서나 사용되던 만 엔 단위가 일반 상거래에서도 점차 사용되기 시작했다.하지만 만 엔 지폐 발행 계획은 순탄치 않았다. 인플레이션 심리를 더욱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고액권 사용으로 인한 거스름돈 처리의 불편함 등이 문제로 지적되었다. 이러한 비판은 중의원과 참의원의 대장위원회에서 제기되었고, 언론 역시 비슷한 논조의 비판을 이어갔다.[9]
당시 일본의 최고액권은 패전 직후 발행된 천 엔 지폐였으나,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화폐 가치가 하락하면서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이에 1957년에는 오천 엔 지폐가 먼저 발행되었고, 이듬해인 1958년 만 엔 지폐 발행이 결정되었다.[9]
만 엔 지폐 발행은 1958년 여름, 제2차 기시 내각의 각의에서 최종 결정되었다. 당시 사토 에이사쿠 대장 대신은 천 엔 지폐가 너무 많이 사용되어 훼손이 심하고 발행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한다고 지적하며 만 엔 지폐 발행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에 이케다 하야토 국무 대신과 아이치 키이치 법무 대신이 찬성 의사를 밝혔고, 다른 각료들의 반대 없이 같은 해 12월 1일 발행이 확정되었다.[9]
발행 초기에는 "서민과는 거리가 먼 고액권"이라는 비판과 조롱 섞인 시선도 있었으나, 일본의 고도 경제 성장과 맞물려 예상보다 훨씬 빠르게 수요가 증가했다. 발행 이듬해에는 일본은행의 재고가 부족해져 금융 기관에 대한 공급을 일시적으로 제한하는 상황까지 발생했으며[9], 만 엔 지폐는 이후 일본 경제 성장의 한 축을 담당하게 되었다.
2. 2. C호권 (1958년 ~ 1986년)
1958년(쇼와 33년) 11월 20일 재무성 고시 제237호 "12월 1일부터 발행하는 일본은행권 1만 엔의 양식을 정하는 건"[15]에 따라 양식이 정해진 이 지폐는 '''C권'''이라고도 불린다.[14] 주요 사양은 다음과 같다.[16]항목 | 내용 |
---|---|
액면 | 1만 엔 (10,000엔) |
앞면 도안 | 쇼토쿠 태자 |
뒷면 도안 | 봉황 (뵤도인 봉황당 문양) |
크기 | 세로 84mm, 가로 174mm[15] |
인장 | 앞면: 총재의 인, 뒷면: 발권국장 |
명판 | 재무성 인쇄국 제조 |
기호 번호 | 검정색, 영문자 1~2자 + 숫자 6자리 + 영문자 1자 (4곳에 인쇄[20]) |
위조 방지 | 호류지 유메도노 도안 |
발행 개시일 | 1958년 12월 1일[15] |
지급 정지일 | 1986년 1월 4일[18] |
효력 | 유효권 |
제조 매수 | 9,323,050,000매[17] |
납품 기간 | 1956년 11월 14일 ~ 1983년 12월 2일[16] |
1953년(쇼와 28년)에 B 1만 엔권 발행 계획이 있었으나, 당시 통화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로 인해 보류되었다. 이후 1955년(쇼와 30년)경부터 신무 경기로 불리는 경제 성장이 이어지면서, 당시 최고액권이던 B 1천 엔권의 발행액 비중이 높아졌다. 경제 성장과 안정으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줄어들자, 1만 엔권과 5천 엔권 발행이 다시 결정되었다. 여전히 인플레이션이나 거스름돈 처리 문제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어, 처음에는 1만 엔권을 먼저 발행하려 했으나 C 5천 엔권부터 순차적으로 발행하게 되었다.
발행 개시 당시 대졸 초임이 약 1만 3천 엔이었기에 고액권 발행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있었고, 잔돈을 취급하는 업종에서는 거스름돈 대응의 어려움을 우려하기도 했다.[19] 그러나 고도 경제 성장이 진행되면서 유통량은 순조롭게 증가했다.
초상은 B 1천 엔권, C 5천 엔권과 동일하게 쇼토쿠 태자이며 앞면 오른쪽에 그려져 있다. 같은 원화를 사용했지만 권종별로 조각이 달라 표정이 약간 다르다. 뒷면에는 중앙 빈 공간을 사이에 두고 뵤도인 봉황당 원주에 그려진 봉황 문양 한 쌍이 그려져 있다. 지폐 크기가 커서 기호 번호는 4곳에 인쇄되었다.[20]
위조 방지 요소로는 나라현 이코마군 호류지의 유메도노 도안이 사용되었다. 이는 B호권 이전보다 정교하고 명료하며, 해당 부분에 인쇄가 없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지폐 용지는 닥나무 등을 원료로 사용했으나, 세탁기 보급 후 실수로 세탁하여 지폐가 손상되는 일이 잦아 용지 강화를 위해 요소 수지를 첨가했다.[21]
B호권에서는 제조 효율을 위해 세로 크기를 통일하고 가로 크기만 액면 금액에 따라 늘렸으나[22], C호권에서는 권종 식별성을 높이기 위해 액면 금액이 올라갈수록 세로 4mm, 가로 5mm씩 커지는 방식을 채택했다.[23]
사용된 색상은 앞면 10색(요판 주무늬 2색, 바탕 무늬 6색, 인장 1색, 기호 번호 1색), 뒷면 5색(요판 주무늬 1색, 바탕 무늬 3색, 인장 1색)이다.[24][16] 다색 요판 인쇄 기술이 도입되어 요판 주무늬가 중간부터 색이 바뀌는 2색 인쇄가 적용되었고[25], 바탕 무늬 색상도 늘어나 기존 지폐보다 화려한 외관을 갖게 되었다.
오키나와 반환 시 통화 교환(제5차 통화 교환)에 사용된 특수 기호권(기호 번호 영문자 조합 일부)이 존재하나 매우 드물다.
2024년 현재 시중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아 진위 판별의 어려움으로 수취를 거부당하거나, 철도역 발매기, ATM 등에서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일본은행 본점이나 지점, 대리점 창구에서 감정 후 현행 지폐로 교환할 수 있다. 일반 은행 창구에서도 계좌 입금이나 현행 지폐 교환이 가능하지만, 손상된 지폐처럼 일본은행 감정이 필요해 며칠이 소요될 수 있다. 특히 C호권은 위조 방지 기술이 현행 지폐보다 취약하여 해외 위조 지폐에 대한 경계가 필요하다. 또한, 향후 일부 은행에서는 취급 수수료를 부과할 가능성도 있다.
2. 3. D호권 (1984년 ~ 2007년)
D호권 또는 '''D권'''[26]은 1984년(쇼와 59년) 11월 1일에 발행 개시되어[27] 2007년(헤이세이 19년) 4월 2일까지 발행된 1만 엔 지폐이다.[18] 현재도 법적으로 유효한 통화이다.- '''앞면 :''' 후쿠자와 유키치 (메이지 시대의 철학자이자 게이오기주쿠 대학교 설립자)[1]
- '''뒷면 :''' 꿩 한 쌍[2]
- '''크기 :''' 가로 160mm, 세로 76mm[27]
- '''발행 개시 :''' 1984년 11월 1일[27]
- '''발행 정지 :''' 2007년 4월 2일[18]
C호권 발행 후 20년 이상 지나면서 사용된 위조 방지 기술이 낡아지고, 인쇄 기술 발달로 정교한 위조지폐가 발견되기 시작하자 위조 방지 강화를 위해 D호권이 발행되었다. 당시 D 5천 엔권, D 천 엔권도 함께 도안이 변경되었는데, 3종류 지폐가 동시에 개정된 것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 또한, ATM나 자동 판매기 등 지폐를 사용하는 기기 보급도 고려하여 디자인되었다.
D호권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지폐 도안 인물로 문화인을 채택한 점이다. 이는 세계적으로 국가 원수나 정치가 외에 문화인을 지폐 도안으로 사용하는 추세를 따른 것이다. 1만 엔권에는 계몽 사상가인 후쿠자와 유키치가 선정되었으며, 그의 기모노 차림 초상이 지폐 앞면 오른쪽에 배치되었다. 후쿠자와 본인이 평소 일본 전통 의상을 즐겨 입었고 해당 사진을 마음에 들어 했다는 점이 고려되었다. 지폐 앞면 테두리의 당초 무늬는 후쿠자와가 활동했던 메이지 시대 서양식 건축물 장식 문양을 참고한 것이다.[29]
뒷면에는 일본의 국조인 꿩 한 쌍이 그려져 있다. 왼쪽에 서 있는 것이 수컷, 오른쪽에 앉아 있는 것이 암컷이다. 지폐 중앙의 동그란 투시(워터마크)는 꿩의 알 모양을 형상화한 것이다.
위조 방지를 위해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었다.
- '''투시:''' 후쿠자와 유키치의 초상이 사용되었으며, 이전보다 크고 명암이 뚜렷하게 개선되었다.
- '''시각 장애인용 식별 마크:''' 세계 최초로 투시 형태의 식별 마크를 도입했다. 앞면 왼쪽 아래 모서리에 점자 'う'를 본뜬 둥근 점 2개가 있어 촉각으로 권종을 구별할 수 있다.
- '''크기:''' 이전 C호권보다 가로, 세로 크기가 모두 작아졌다. 이는 지폐 소형화라는 세계적 추세와 제조 효율성, 자원 절약[33], 기기 취급 편의성 등을 고려한 결과이다[34]. D호권부터 1만 엔, 5천 엔, 천 엔권은 세로 길이는 같고 가로 길이만 액면 금액에 따라 5mm씩 길어지는 형식을 채택했으며, 이 크기는 이후 E호권, F호권에도 유지된다.
- '''색상:''' 갈색 계열을 기본으로 하며, 복사기나 이미지 스캐너 등으로 색 분해가 어렵도록 원색보다는 중간색을 많이 사용했다.[27][16]
D호권은 발행 기간 중 몇 차례 변화를 겪었다.
- '''초기 발행 (1984년):''' 기호 번호가 검은색으로 인쇄되었고, 제조자 명칭은 '대장성 인쇄국 제조'였다.[27]
- '''미니 개정 (1993년):''' 1993년 12월 1일 발행분부터 위조 방지 강화를 위해 '미니 개정'이 이루어졌다.[30] 기호 번호 색상이 갈색으로 변경되었고, 마이크로 문자 ('NIPPON GINKO')와 자외선을 비추면 빛나는 특수 발광 잉크(앞면 총재 인장 - 주황색, 뒷면 발권국장 인장 - 붉은색)가 추가되었다.
- '''제조자 명칭 변경:''' 일본 정부 조직 개편에 따라 지폐 하단의 제조자 명칭 표기가 변경되었다.
- 2001년 5월 14일 발행분부터 '재무성 인쇄국 제조'[31]
- 2003년 7월 1일 발행분부터 '국립 인쇄국 제조'[32]
아래는 D호권의 주요 변천 과정을 정리한 표이다.
발행 개시 | 기호 번호 색상 | 마이크로 문자 | 인장 (특수 발광) | 명판(제조자명) | 변경 이유 |
---|---|---|---|---|---|
1984년 11월 1일[27] | 흑색[27] | 없음 | 없음 | 대장성 인쇄국 제조[27] | 신규 발행 |
1993년 12월 1일[30] | 갈색[30] | 있음 | 있음 | 위조 방지력 향상 (미니 개정) | |
2001년 5월 14일[31] | 재무성 인쇄국 제조[31] | 제조자 조직 변경 (중앙성청 개편) | |||
2003년 7월 1일[32] | 국립 인쇄국 제조[32] | 제조자 조직 변경 (독립 행정법인화) |
2004년 E호권 발행 전후로 D호권 위조지폐가 발견되기도 했다. 현재 D호권은 법적으로 유효하지만, 오래된 지폐이기 때문에 일부 자동 판매기나 ATM 등에서는 인식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점에서 지폐의 진위 확인 어려움을 이유로 수령을 거부당할 수도 있다. 은행 창구에서는 현재 통용되는 지폐나 동전으로 교환하거나 계좌에 입금할 수 있다.
2. 4. E호권 (2004년 ~ 현재)
- '''앞면 :''' 후쿠자와 유키치. D호권과 동일한 초상을 유지하되, 추가적인 패턴과 새로운 보안 기능이 더해졌다.[3]
- '''뒷면 :''' 뵤도인의 봉황 조각상[3]
- '''크기 :''' 세로 76mm, 가로 160mm (D호권과 동일)
- '''발행 개시 :''' 2004년 11월 1일[36]
- '''발행 정지 :''' 2022년 11월 5일
- '''유효 통화'''
2004년 11월 1일에 발행이 시작된 시리즈이다.[36] 처음 발행 시 기호 번호는 흑색이었으나, 2011년 7월 19일 발행분부터는 갈색으로 변경되었다.[30] 앞면은 후쿠자와 유키치의 초상을 포함하여 D호권 디자인의 많은 부분을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보안 기능과 패턴이 추가되었다. 뒷면에는 뵤도인에 있는 봉황(호오) 그림이 그려져 있다.[3]
지폐에는 위조 방지를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었다. 여기에는 요판 인쇄, 홀로그램, 미세 문자 인쇄, 형광 잉크, 잠상(숨은 그림), 워터마크, 보는 각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잉크 등이 포함된다.[4]
2. 5. F호권 (2024년 7월 3일 발행 예정)


2024년 7월 3일에 발행되는 새로운 일본은행권 10000엔 지폐(F호권)는 1000엔 지폐 및 5000엔 지폐와 함께 도안이 변경되었다.[49][47] 10,000엔 지폐는 교체되기 전 평균 수명이 4~5년이다.
F호권의 주요 사양은 다음과 같다.
항목 | 내용 |
---|---|
액면 | 10000엔 (壹万円) |
앞면 도안 | 시부사와 에이이치 |
뒷면 도안 | 도쿄역 (마루노우치 역사) |
인장 | 앞면: 총재지인, 뒷면: 발권국장 |
명판 | 국립인쇄국 제조 |
크기 | 세로 76mm, 가로 160mm |
기번호 사양 | |
발행 개시일 | 2024년 7월 3일[49][47] |
지폐에는 위조를 막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요판 인쇄, 홀로그램, 미세 인쇄, 형광 잉크, 잠상, 워터마크, 보는 각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각도 의존형 잉크 등이 사용된다.[4]
2021년 9월 1일, 일본은행은 X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을 통해 새로운 지폐 디자인이 2024년에 출시될 예정임을 발표했다.[5] 당시 환율 기준으로 10,000엔은 약 68.82USD에 해당했다.[6] F호권의 양식은 2023년 12월 15일에 제정되었다.[45]
3. 위조 방지 기술
3. 1. C호권
3. 2. D호권
'''D권'''이라고도 불리는[26] 이 지폐는 1984년(쇼와 59년) 6월 25일 대장성 고시 제76호 "쇼와 59년 11월 1일부터 발행하는 일본 은행권 1만 엔, 5천 엔 및 천 엔의 양식을 정하는 건"[27]에 따라 양식이 정해졌다.
주요 사양은 다음과 같다[16].
C호권 발행 후 20년 이상 지나면서 사용된 지폐 제조 기술과 위조 방지 기술이 낡아졌고, 인쇄 기술 발달로 1980년대 초부터 정교한 위조지폐가 발견되기 시작했다. 이에 위조 방지 대책 강화를 위해 D호권이 발행되었다. D호 1만 엔권, D호 5천 엔권, D호 천 엔권 3종류가 동시에 개정되었는데,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 또한 당시 ATM, 환전기, 자동 판매기 등 지폐 취급 기기가 널리 보급되기 시작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개정이 이루어졌다.
D호권에서는 각 액면의 인물 초상으로 문화인이 채택되었다. 이는 국가 원수나 정치가 외에 문화인도 지폐 초상으로 채택하는 세계적인 경향을 따른 것이다. 1만 엔권 초상에는 계몽 사상가 후쿠자와 유키치가 선정되어 앞면 오른쪽에 그려졌다. 검토 단계에서 기모노 차림의 일본옷 모습에 대한 이견도 있었으나, 후쿠자와 유키치 본인이 평소 일본옷을 즐겨 입었고 해당 사진을 마음에 들어 했다는 점을 고려하여 그대로 채택되었다. 지폐의 인명 표기는 "福'''澤'''諭吉"가 아닌 신자체 "福'''沢'''諭吉"로 쓰여 있다. 앞면 테두리의 당초 무늬는 후쿠자와 유키치가 활동했던 메이지 시대 서양관 장식에 사용된 무늬를 기반으로 디자인되었다[29].
뒷면에는 중앙 빈 공간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일본의 국조인 꿩 한 쌍이 그려져 있다. 왼쪽의 서 있는 모습이 수컷, 오른쪽의 앉아 있는 모습이 암컷이다. 지폐 중앙의 투과 부분에 있는 원 모양의 빈 공간은 꿩의 알 형태를 형상화한 것이다. 이 원형 빈 공간의 윤곽은 앞면과 뒷면에서 정확히 위치가 일치하도록 인쇄되었다.
초기 기호 번호는 흑색으로 인쇄되었으나[27], 1993년 12월 1일 발행분부터 기호 번호 색상을 갈색으로 변경[30]하고, '미니 개정'이라 불리는 일부 개량을 거친 지폐를 발행했다. 기존 디자인은 유지하면서 마이크로 문자("NIPPON GINKO" 문자가 앞뒷면 특정 부분에 추가됨)와 특수 발광 잉크(자외선을 비추면 앞면 총재 인장은 주황색, 뒷면 발권국장 인장은 붉은색으로 발광) 등 새로운 위조 방지 기술이 적용되었다. 미니 개정 전의 흑색 기호 번호 지폐는 모든 기호 번호 조합을 사용하지 않았다.
중앙성청 개편 및 독립 행정법인화에 따라 제조자 명칭이 변경되면서, 갈색 기호 번호 지폐의 명판 표기는 다음과 같이 세 차례 변경되었다.
D호 1만 엔권의 변천 과정을 요약하면 아래 표와 같다.
발행 개시 | 기호 번호 색상 | 마이크로 문자 | 인장 발광 | 명판(제조자명) | 변경 사유 |
---|---|---|---|---|---|
1984년 11월 1일[27] | 흑색[27] | 없음 | 특수 발광 없음 | 대장성 인쇄국 제조[27] | - |
1993년 12월 1일[30] | 갈색[30] | 있음 | 특수 발광 있음 | 위조 방지력 향상을 위한 양식 변경 (미니 개정) | |
2001년 5월 14일[31] | 재무성 인쇄국 제조[31] | 제조자 조직 변경 (중앙성청 개편) | |||
2003년 7월 1일[32] | 국립 인쇄국 제조[32] | 제조자 조직 변경 (독립 행정법인화) |
투시 도안 역시 초상과 동일한 후쿠자와 유키치이며, 이전 지폐보다 크고 흑백 명암이 뚜렷하게 개선되었다. 시각 장애인이 촉각으로 쉽게 권종을 식별할 수 있도록, 앞면 왼쪽 하단 모서리에 점자 '우(う)'를 본뜬 '둥근 점 2개' 모양의 투시 식별 마크가 적용되었다. 이는 세계 최초로 투시 기술을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식별 마크이다.
지폐 크기는 이전 C호권보다 세로, 가로 모두 작아졌다. 이는 세계적인 지폐 소형화 추세에 맞춘 것이며, 제조 능력 향상, 자원 절약[33], 기계 취급 편의성[34] 등을 고려한 결과이다. 동시에 개정된 D호권 3종류는 세로 길이는 동일하게 유지하고, 액면 금액이 높아질수록 가로 길이를 5mm씩 늘리는 방식을 채택했다. 이후 발행된 E호권 1만 엔권도 이 크기를 따르고 있다.
사용된 색상은 앞면 10색(요판 인쇄 주무늬 2색, 지문 6색, 인장 1색, 기호 번호 1색), 뒷면 4색(요판 인쇄 주무늬 1색, 지문 2색, 인장 1색)이다[27][16]. 복사기나 이미지 스캐너 등에서의 색 분해를 어렵게 하기 위해, 원색 사용을 피하고 중간색을 많이 사용한 인쇄 방식을 택했다.
2004년 E호권 발행 직전과 직후에 D호권 위조지폐가 잇달아 발견되기도 했다.
2024년 현재, 철도역 발매기나 ATM, 자동 거스름돈 지급기 등 각종 기기에서 D호권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대면 거래 시에도 익숙하지 않은 지폐라는 이유로 진위 판별이 어렵다며 수령을 거부당할 수도 있다. 은행 창구에서는 계좌 입금이나 현행 지폐 및 동전으로 교환이 가능하다.
3. 3. E호권
2004년 11월 1일에 발행이 시작된 시리즈이다.[3] 2022년 11월 5일에 발행이 정지되었으며, 현재도 유효한 통화이다.- '''앞면''': 후쿠자와 유키치의 초상을 포함하여 D호권 지폐 디자인의 대부분을 유지하면서, 추가적인 패턴과 새로운 보안 기능을 더했다.[3]
- '''뒷면''': 뵤도인에 있는 봉황(호오) 조각상이 그려져 있다.[3]
- '''크기''': D호권과 동일한 세로 76mm, 가로 160mm이다.[27]
지폐에는 요판 인쇄, 홀로그램, 미세 인쇄, 형광 잉크, 잠상, 워터마크, 각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잉크 등 광범위한 위조 방지 기술이 적용되어 있다.[4]
3. 4. F호권
F호권은 2024년 7월 3일에 발행된 새로운 10000엔 지폐 시리즈이다.[5] 이 지폐는 1000엔 지폐 및 5000엔 지폐와 함께 새로 발행되었다.
주요 사양은 다음과 같다.
항목 | 내용 |
---|---|
액면 | 10000엔 (壹万円) |
앞면 도안 | 시부사와 에이이치 |
뒷면 도안 | 도쿄역 |
인장 | 앞면: 총재지인, 뒷면: 발권국장 |
명판 | 국립인쇄국 제조 |
크기 | 세로 76mm, 가로 160mm |
기번호 | 영문 2글자 + 숫자 6자리 + 영문 2글자 (검정색) |
발행 개시일 | 2024년 7월 3일 |
2021년 9월 1일, 일본은행은 트위터 계정을 통해 새로운 지폐 디자인 인쇄 및 2024년 발행 계획을 발표했다.[5] 발행 시점 당시 환율로 약 68.82USD에 해당한다.[6]
기존 10000엔 지폐의 평균 수명은 교체되기 전까지 4~5년 정도이다.
4. 사회·경제적 영향
10000엔 지폐는 대략 20년 정도의 간격을 두고 정기적으로 도안을 변경하고 최신 위조 방지 기술을 도입하여 화폐의 신뢰성을 유지하고 위조를 방지하는 노력을 기울여 왔다.[15][27][30][31][32][36][45][49][47] 주요 개정 역사는 다음과 같다.
발행 시작 | 시리즈 | 주요 도안 (앞면/뒷면) | 주요 변경 사항 및 특징 | 지급 정지 |
---|---|---|---|---|
1958년 12월 1일 | C권 | 쇼토쿠 태자 / 봉황 | 최초의 1만 엔권[15] | 1986년 1월 4일[18] |
1984년 11월 1일 | D권 | 후쿠자와 유키치 / 꿩 | 대장성 명의, 기호 번호 흑색[27] | 2007년 4월 2일[18] |
1993년 12월 1일 | D권 (개정) | (동일) | 위조 방지 강화 (미니 개정), 기호 번호 갈색 변경[30] | (동일) |
2001년 5월 14일 | D권 (명의 변경) | (동일) | 재무성 명의 변경[31] | (동일) |
2003년 7월 1일 | D권 (명의 재변경) | (동일) | 국립인쇄국 명의 변경[32] | (동일) |
2004년 11월 1일 | E권 | 후쿠자와 유키치 / 뵤도인 호오도 봉황상 | 기호 번호 흑색[36] | - |
2011년 7월 19일 | E권 (개정) | (동일) | 기호 번호 갈색 변경[30] | - |
2024년 7월 3일 | F권 | 시부사와 에이이치 / 도쿄역 마루노우치 역사 | 최신 위조 방지 기술 적용[49][47] | - |
4. 1. 현금 없는 사회와의 관계
(해당 섹션 제목과 관련된 내용이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아,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5. 기타
10000엔 지폐는 대략 20년 주기로 도안 변경과 함께 최신 위조 방지 기술을 도입하여 개정된다.
발행 시작일 | 지급 정지일 | 시리즈 | 도안 (앞면/뒷면) | 주요 특징 및 변경 사항 |
---|---|---|---|---|
1958년 12월 1일 | 1986년 1월 4일 | C 1만 엔권 | 쇼토쿠 태자 / 봉황 | 최초의 1만 엔권 발행[15][18] |
1984년 11월 1일 | 2007년 4월 2일 | D 1만 엔권 | 후쿠자와 유키치 / 꿩 | 대장성 명의, 기호 번호 흑색[27][18] |
1993년 12월 1일 | (D권에 포함) | D 1만 엔권 (개조) | 후쿠자와 유키치 / 꿩 | 위조 방지력 향상 (미니 개정), 기호 번호 갈색 변경[30] |
2001년 5월 14일 | (D권에 포함) | D 1만 엔권 (명의 변경) | 후쿠자와 유키치 / 꿩 | 재무성 명의로 변경[31] |
2003년 7월 1일 | (D권에 포함) | D 1만 엔권 (명의 재변경) | 후쿠자와 유키치 / 꿩 | 국립 인쇄국 명의로 변경[32] |
2004년 11월 1일 | 발행 중 | E 1만 엔권 | 후쿠자와 유키치 / 뵤도인 호오도 봉황상 | 기호 번호 흑색[36] |
2011년 7월 19일 | 발행 중 | E 1만 엔권 (개조) | 후쿠자와 유키치 / 뵤도인 호오도 봉황상 | 기호 번호 갈색 변경[30] |
2024년 7월 3일 | 발행 중 | F 1만 엔권 | 시부사와 에이이치 / 도쿄역 마루노우치 역사 | 최신 위조 방지 기술 적용[49][47][45] |
참조
[1]
웹사이트
Banknotes in Use but No Longer Issued
https://www.npb.go.j[...]
2024-06-10
[2]
웹사이트
Birds of fine feather -- and taste
https://www.japantim[...]
2005-04-07
[3]
웹사이트
Introduction of Banknotes
http://www.npb.go.jp[...]
2010-07-23
[4]
웹사이트
Anti-Counterfeiting Measures
http://www.npb.go.jp[...]
2010-07-23
[5]
웹사이트
BOJ gets hip to social media with tweet on new ¥10,000 note
https://www.japantim[...]
2021-09-03
[6]
웹사이트
yen to usd conversion note
https://www.topsoftw[...]
2023-09-03
[7]
웹사이트
一万円券の偽造防止技術について
https://www.boj.or.j[...]
[8]
웹사이트
現在発行されている銀行券・貨幣
https://www.boj.or.j[...]
[9]
뉴스
[はじまりを歩く]1万円札(東京都中央区)渦巻く反対論 国会も新聞も/紙幣の顔は誰 東大が探った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4-09-07
[10]
웹사이트
[教えて!にちぎん]1円未満のお金が使えなくなったのはいつからですか?
https://www.boj.or.j[...]
[11]
웹사이트
和紙原料の生産・流通状況
http://nittokusin.jp[...]
日本特用林産振興会
2017-06-13
[12]
웹사이트
特産農産物に関する生産情報調査結果(平成 24 年)
http://www.jsapa.or.[...]
公益財団法人日本特産農産物協会
2017-06-13
[13]
웹사이트
ミツマタ出荷で集落再生 京都・福知山、紙幣原料に
http://www.kyoto-np.[...]
京都新聞社
2017-06-13
[14]
웹사이트
お札の基本情報
https://www.npb.go.j[...]
2023-07-10
[15]
법령
十二月一日から発行する日本銀行券壱万円の様式を定める件
https://www.mof.go.j[...]
1958-11-20
[16]
서적
日本銀行券製造100年・歴史と技術
1984-11
[17]
서적
日本のお金 近代通貨ハンドブック
1994-06
[18]
웹사이트
現在発行されていないが有効な銀行券 一万円券
http://www.boj.or.jp[...]
2021-06-19
[19]
뉴스
悲鳴を上げる窓口 小銭扱う興行街や駅など
1953-09-03
[20]
문서
B号券以降の日本銀行券の中で記番号が4ヶ所に印刷されている紙幣は、この紙幣とC五千円券のみである。
[21]
서적
図録日本の貨幣 9 管理通貨制度下の通貨
1975
[22]
서적
図録日本の貨幣 9 管理通貨制度下の通貨
1975
[23]
서적
図録日本の貨幣 9 管理通貨制度下の通貨
1975
[24]
서적
図録日本の貨幣 9 管理通貨制度下の通貨
1975
[25]
서적
紙幣肖像の歴史
1989-11
[26]
웹사이트
お札の基本情報
https://www.npb.go.j[...]
2023-07-10
[27]
법령
昭和五十九年十一月一日から発行する日本銀行券壱万円、五千円及び千円の様式を定める件
https://www.mof.go.j[...]
1984-06-25
[28]
서적
日本の現行貨幣 収集の手引き
2011-11
[29]
서적
日本銀行券製造100年・歴史と技術
1984-11
[30]
법령
平成五年十二月一日から発行する日本銀行券壱万円、五千円及び千円の様式を定める件
https://www.mof.go.j[...]
1993-06-24
[31]
법령
平成十三年五月十四日から発行する日本銀行券壱万円、五千円及び千円の様式を定める件
https://www.mof.go.j[...]
2001-03-30
[32]
법령
平成十五年七月一日から発行を開始する日本銀行券壱万円、五千円及び千円の様式を定める件
https://www.mof.go.j[...]
2003-06-13
[33]
서적
日本のお金 近代通貨ハンドブック
1994-06
[34]
서적
日本のお金 近代通貨ハンドブック
1994-06
[35]
웹사이트
お札の基本情報
https://www.npb.go.j[...]
2023-07-10
[36]
간행물
平成十六年十一月一日から発行を開始する日本銀行券壱万円、五千円及び千円の様式を定める件
https://www.mof.go.j[...]
財務省
2004-08-13
[37]
문서
平等院鳳凰堂の鳳凰像
[38]
간행물
平成二十三年七月十九日から発行を開始する日本銀行券壱万円及び千円の様式を定める件
https://www.mof.go.j[...]
財務省
2011-04-26
[39]
웹사이트
日本銀行券一万円券および千円券の記号および番号の印刷色変更について
http://www.boj.or.jp[...]
日本銀行
2011-04-26
[40]
문서
千円紙幣の前例
[41]
웹사이트
福沢諭吉の1万円札、製造終了…渋沢栄一の新紙幣は6月から量産中
https://www.yomiuri.[...]
読売新聞社
2022-11-04
[42]
문서
紙幣の識別マーク
[43]
웹사이트
お札識別アプリ「言う吉くん」
https://www.npb.go.j[...]
[44]
웹사이트
お札の基本情報
https://www.npb.go.j[...]
2023-07-10
[45]
간행물
令和六年七月三日から日本銀行が発行を開始する日本銀行券壱万円、五千円及び千円の様式を定める件
https://www.mof.go.j[...]
財務省
2023-12-15
[46]
웹사이트
新紙幣、来年7月3日発行 1万円札など20年ぶり刷新
https://www.jiji.com[...]
時事.com
2023-12-14
[47]
뉴스
新紙幣、来年7月にも発行 財務省と日銀
https://www.jiji.com[...]
時事通信
2023-06-24
[48]
웹사이트
新しい日本銀行券特設サイト|TOPページ
https://www.npb.go.j[...]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2024-07-03
[49]
웹사이트
新しい日本銀行券及び五百円貨幣を発行します
https://www.mof.go.j[...]
2019-04-09
[50]
웹사이트
政府、紙幣刷新へ 1万円札は渋沢栄一
https://www.nikkei.c[...]
2019-04-09
[51]
보고서
新しい日本銀行券2024 匠の技とデザイン
2023-11
[52]
웹사이트
新しい日本銀行券特設サイト
https://www.npb.go.j[...]
2023-04-24
[53]
문서
東日本旅客鉄道と国鉄、鉄道省の歴史
[54]
문서
紙幣の製造番号
[55]
웹사이트
新日本銀行券印刷開始式について
https://www.mof.go.j[...]
財務省
2021-10
[56]
웹사이트
偽造防止技術~4つの「分かる」~
https://www.boj.or.j[...]
日本銀行
2022-02-11
[57]
웹사이트
新しい日本銀行券と現行の日本銀行券の比較
https://www.boj.or.j[...]
日本銀行
2022-02-11
[58]
웹사이트
新しい一万円札について
https://www.npb.go.j[...]
2023-07-10
[59]
웹사이트
お札の誕生祭~新しいお札がやってきた!~ 解説書
https://www.npb.go.j[...]
2024-07-10
[60]
웹사이트
印刷開始式を開催しました。
https://www.npb.go.j[...]
国立印刷局
2021-09-30
[61]
웹사이트
新1万円札の実物を初披露、流通は24年度上期めど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21-09-02
[62]
웹사이트
新しい日本銀行券の外観 - 新一万円券
https://www.boj.or.j[...]
日本銀行
2021-09-30
[63]
문서
有効券
[64]
법률
公証人法(明治四十一年法律第五十三号)第37条第3項
https://laws.e-gov.g[...]
e-Gov
2011-06-24
[65]
법률
大正十一年大蔵省令第四十三号(会計法規ニ基ク出納計算ノ数字及記載事項ノ訂正ニ関スル件)
https://laws.e-gov.g[...]
e-Gov
1950-05-22
[66]
법률
戸籍法施行規則(昭和二十二年司法省令第九十四号)第31条第2項
https://laws.e-gov.g[...]
e-Gov
2017-09-25
[67]
법률
小切手振出等事務取扱規程(昭和二十六年大蔵省令第二十号)(昭和40年大蔵省令第20号) 附則第2項
https://laws.e-gov.g[...]
e-Gov
1965-04-01
[68]
법률
商業登記規則(昭和三十九年法務省令第二十三号)第48条第2項
https://laws.e-gov.g[...]
e-Gov
2019-09-17
[69]
웹사이트
新1万円札は使われるのか
https://arc.asahi-ka[...]
ARC WATCHING 2019年6月号
2021-09-25
[70]
웹사이트
新たな1万円札と「キャッシュレス化」
https://www.iima.or.[...]
公益財団法人 国際通貨研究所
2021-04
[71]
웹사이트
広報誌 ファイナンス
https://www.mof.go.j[...]
財務省
2019-06-01
[72]
웹사이트
少額商品に1万円札→店員「1万円入ります」と大声、その目的は?いつから習慣?
https://otonanswer.j[...]
2021-03-24
[73]
웹사이트
お札の特長
http://www.npb.go.jp[...]
独立行政法人国立印刷局
[74]
뉴스
一万円札年末にお目見え
1953-09-03
[75]
뉴스
「一万円札」発行へ
1955-12-30
[76]
논문 #추정. Harvtxt 템플릿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정확한 유형을 판단할 수 없습니다.
2007
[77]
간행물
追跡・聖徳太子拾万円札プラン 日の目見なかったデザイン再現
1988-1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